카이 시그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 시그반은 스웨덴의 물리학자이다. 19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만네 시그반의 아들로 태어나, 1981년 레이저 분광학 분야의 공로로 니콜라스 블룸베르헨, 아서 레오나드 숄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는 화학 분석을 위한 전자 분광학(ESCA)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 방법은 현재 X선 광전자분광법(XPS)으로 알려져 있다. 1954년부터 1984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에서 실험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7년 사망할 때까지 웁살라 대학교 옹스트롬 연구소에서 과학자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룬드 출신 - 울프 크리스테르손
울프 크리스테르손은 2022년부터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하고 있는 정치인으로, 우익 연합을 이끌며 스웨덴 민주당의 외곽 지지를 받는 연립 정부를 통해 범죄와의 싸움, 이민 규제 강화, 원자력 발전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스웨덴의 NATO 가입을 주도하고 있다. - 룬드 출신 - 질리스 룬드그렌
질리스 룬드그렌은 아직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스웨덴의 물리학자 - 한네스 알벤
한네스 알벤은 플라스마 물리학과 자기유체역학 분야에 기여하여 197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우주 플라스마 이론과 알벤파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 우주론을 제창했다. - 스웨덴의 물리학자 - 스반테 아레니우스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이온 해리 이론을 정립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고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연구, 활성화 에너지 개념 제시, 아레니우스 방정식 개발, 지구 온난화 예측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 기여했으나, 우생학 운동 참여 논란도 있는 스웨덴의 물리화학자이다. - 스톡홀름 대학교 동문 - 안상훈 (사회과학자)
안상훈은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출신으로, 22대 국회의원이며, 사회과학자로서 다양한 정부 정책 자문 및 위원회 활동을 수행했고,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비서관을 역임했다. - 스톡홀름 대학교 동문 - 스반테 아레니우스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이온 해리 이론을 정립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고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연구, 활성화 에너지 개념 제시, 아레니우스 방정식 개발, 지구 온난화 예측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 기여했으나, 우생학 운동 참여 논란도 있는 스웨덴의 물리화학자이다.
카이 시그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카이 시그반 |
원어 이름 | Kai Manne Börje Siegbahn |
출생 | 1918년 4월 20일 |
출생지 | 스웨덴 룬드 |
사망 | 2007년 7월 20일 |
사망지 | 스웨덴 엥엘홀름 |
국적 | 스웨덴 |
분야 | 물리학 |
소속 기관 | 스톡홀름 대학교 웁살라 대학교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
모교 | 스톡홀름 대학교 |
주요 업적 | 고분해능 광전자 분광법 |
수상 | |
수상 내역 | 노벨 물리학상(1981년) 비에르켄 상(1955년, 1977년) |
2. 생애
카이 시그반은 스웨덴 룬드에서 태어나 1944년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아버지 만네 시그반은 192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왕립 공과대학교에서, 1954년부터 1984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에서 실험물리학 교수로 재직했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가 맡았던 직책과 동일하다. 1981년 니콜라스 블룸베르헨, 아서 레오나드 숄로와 함께 레이저 분광학 분야의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시그반은 화학 분석을 위한 전자 분광학(ESCA) 방법을 개발하여 노벨상을 받았는데, 이 방법은 현재 엑스선 광전자분광법(XPS)으로 불린다.
1944년 안나 브리타 레딘과 결혼하여 세 아들(물리학자 두 명과 생화학자 한 명)을 두었다.[5][6] 2007년 7월 20일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스웨덴 룬드에서 태어났다. 1944년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그의 아버지 만네 시그반 또한 192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왕립 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1954년에서 1984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에서 실험물리학 교수로 지냈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가 맡았던 직책과 동일하다.[2] 1944년 안나 브리타 레딘과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는데, 두 명은 물리학자이고 한 명은 생화학자이다.[5][6]2. 2. 학문적 경력
룬드에서 태어난 카이 시그반은 1944년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아버지 만네 시그반 또한 192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2]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왕립 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1954년에서 1984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에서 실험물리학 교수로 지냈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가 역임했던 직책과 동일했다.[2]1981년, 니콜라스 블룸베르헨, 아서 레오나드 숄로와 함께 레이저 분광학 분야에서의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3] 시그반은 "고해상도 전자 분광법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상금의 절반을 받았고, 블롬베르겐과 숄로는 각각 "레이저 분광법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상금의 4분의 1을 받았다.[3]
시그반은 화학 분석을 위한 전자 분광학(ESCA) 방법을 개발하여 노벨상을 받았는데, 이 방법은 현재 엑스선 광전자분광법(XPS)으로 불린다. 1967년에 그는 "ESCA; 전자 분광법을 이용한 원자, 분자 및 고체 구조 연구"라는 책을 출판했다.[4] 그는 말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의 옹스트롬 연구실에서 과학자로 연구에 참여하였다.[6]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를 포함한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이였으며, 1981년부터 1984년까지 국제 순수 및 응용 물리학 연합의 회장을 역임했다.[5]
2. 3. 말년
카이 시그반은 말년에 웁살라 대학교의 옹스트롬 연구실에서 과학자로 연구에 참여하였다.[2] 1967년에는 "ESCA; 전자 분광법을 이용한 원자, 분자 및 고체 구조 연구"라는 책을 출판했다.[4]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를 포함한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이였으며, 1981년부터 1984년까지 국제 순수 및 응용 물리학 연합의 회장을 역임했다.[5]
1944년 안나 브리타 레딘과 결혼하여 세 아들(물리학자 두 명과 생화학자 한 명)을 두었다.[5][6]
2007년 7월 20일 89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웁살라 대학교의 옹스트롬 연구소에서 과학자로 활동했다.[1][6]
3. 연구 업적
스웨덴 룬드에서 태어나 1944년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아버지 만네 시그반 또한 192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왕립 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1954년에서 1984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에서 실험물리학 교수로 지냈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가 맡았던 직책이었다. 1981년에는 레이저 분광학 분야에서의 공로로 니콜라스 블룸베르헨, 아서 레오나드 숄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분석화학 백과사전([http://onlinelibrary.wiley.com/ Encyclopedia of Analytical Chemistry])의 초기 편집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3. 1. 화학 분석용 전자 분광법 (ESCA) 개발
카이 시그반은 화학 분석용 전자 분광학(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약칭 '''ESCA''')을 개발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이 방법은 현재 엑스선 광전자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약칭 '''XPS''')으로 기술된다. 그는 말년까지 웁살라 대학교 옹스트룀 연구실에서 연구에 참여하였다.3. 2. X선 광전자 분광법 (XPS)
시그반은 화학 분석을 위한 전자 분광학(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약칭 '''ESCA''') 방법을 개발하여 노벨상을 받았는데, 이 방법은 현재 엑스선 광전자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약칭 '''XPS''')으로 기술된다.[1] 그는 말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의 옹스르롱 연구실에서 과학자로 연구에 참여하였다.[1]4. 수상 경력
상 이름 | 수상 기관 | 수상 연도 |
---|---|---|
린드블롬상 | 1945년 | |
비에르켄상 | 1955년, 1977년 | |
섭씨 메달 | 1962년 | |
시스텐 헤이먼상 | 예테보리 대학교 | 1971년 |
해리슨 하우상 | 로체스터 | 1973년 |
모리스 F. 하슬러상 | 클리블랜드 | 1975년 |
찰스 프레데릭 챈들러 메달 | 컬럼비아 대학교 | 1976년 |
토르베른 베리만 메달 | 1977년 | |
피츠버그 분광학상 | 1982년 | |
노벨 물리학상 | 노벨 재단 | 1981년 |
5. 기타 활동
카이 시그반은 분석화학 백과사전의 초기 편집자 중 한 명이었다.
6. 가족 관계
카이 시그반은 1944년 안나 브리타 레딘과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이들 중 두 명은 물리학자이고, 한 명은 생화학자이다.[5][6] 그의 아버지 만네 시그반은 192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참조
[1]
뉴스
Kai Siegbahn, Swedish Physicist, Dies at 89
https://www.nytimes.[...]
2007-08-07
[2]
논문
Obituary: Kai Manne Börje Siegbahn
2007-11-01
[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1
https://www.nobelpri[...]
2023-09-27
[4]
웹사이트
Kai Siegbahn - Nobel lecture: Electron Spectroscopy for Atoms, Molecules and Condensed Matter
https://www.nobelpri[...]
1981-12-08
[5]
웹사이트
Kai Siegbahn - Curriculum Vitae
https://www.nobelpri[...]
2023-09-14
[6]
논문
Kai M. Siegbahn (1918‒2007): a pioneer in high-resolution electron spectroscopy
2022-01-01
[7]
뉴스
Kai Siegbahn, Swedish Physicist, Dies at 89.
뉴욕 타임스
2007-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